[벳조이]허정무 후보, 축구협회장 선거 금지 가처분 신청… 축구계 “불공정·불투명” 한목소리
본문
허정무 전 프로축구 K리그1 대전하나시티즌 이사장이 지난해 11월 2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대한축구협회장 선거 출마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. 사진=뉴시스 |
1일 허정무 대한축구협회장 후보 측에 따르면 허 후보는 지난달 30일 협회 및 선거운영위원회의 불공정하고 불투명한 선거관리의 정도가 매우 심각해 오는 8일 예정인 회장선거를 진행해서는 안 된다면서 ‘회장선거 금지 가처분 신청’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했다.
허 후보 측이 주장한 이번 회장선거 금지 가처분 신청의 근거는 ▲선거운영위원회 구성의 불투명 ▲일정, 절차가 제대로 공고되지 않는 불공정한 선거관리 ▲규정보다 21명이 부족한 선거인단 구성 ▲선수들의 정당한 선거권 행사 방해 등을 골자로 한다.
실제 허 후보가 주장한 내용들은 현재 축구계의 큰 이슈가 되고 있다. 우선 선거운영위원회 구성이다. 협회 회장선거관리규정에 따르면 운영위는 협회와 관련 없는 외부위원(학계, 언론계, 법조계 등)이 전체 위원의 3분의 2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. 하지만, 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명단은 비공개다.
4선에 도전하는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대한축구협회에서 공약 발표를 하고 있다. 사진=뉴시스 |
법조계 관계자는 “선관위의 기본 원칙은 대한민국 헌법 제114조 ‘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’에 따른다. 즉 선거의 투명·공정성을 위해 존재한다”며 “이를 비공개로 두는 것은 위법의 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거의 투명·공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”고 설명했다. 축구계 관계자는 “협회 선거운영위는 결국 협회 측이 임명하는 것이 아닌가. 현 협회장이 3선에 도전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공개하는 것이 맞다”고 지적했다.
선거인단 구성 및 현장 투표의 제약 등도 지적된다. 선거인단은 총 194명이다. 그러나, 선거 후보자들에게 전달된 명단은 173명이었다. 협회 측은 “21명의 선거인이 개인정보에 동의하지 않았다”고 설명했다.
이 같은 이유를 운영위가 아닌 협회가 발표하는 것도 문제가 있으며, 총 선거인단의 10%나 빠지는 상황에서 아무런 조치가 없다는 것도 문제를 야기하기 충분하다. 현재 선거인단에서 제외된 21명 중 18명이 현직 감독(1명) 및 선수(17명)이다. 투표를 거부한 것이 아니다. ‘현장 투표’로 진행되는 시스템인 상황에서 감독 및 선수단은 해외 전지훈련으로 참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. 허 후보 측은 “특정 직군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”고 주장했다.
제55대 축구협회장 선거를 앞두고 축구계서 불공정하고 불투명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. 사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축구회관 로비 모습이다. 사진=뉴시스 |
일각에서는 온라인 투표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. 구강본 국립한국교통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는 “투표 불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, 좀 더 다양하고 전반을 아우르는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”고 설명했다.
불신으로 가득 찬 한국 축구가 변화의 기로에 섰다. 특히 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, 축구종합센터 설립, 협회 이사진 구성 등 밀실 행정과 관련해 크게 비판을 받아왔기에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. 이대로라면 또 한 번 ‘불통·불신·불만’ 멍에를 짊어질 위기다. 새해를 맞은 한국 축구가 변화와 함께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.
김종원 기자 [email protected]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