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시 장난감으로 아프리카를 구원한 한 과학자
컨텐츠 정보
- 4 조회
- 0 추천
- 목록
본문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Bq.webp)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Bt.webp)
인류의 주적 모기가 전염시키는
인류의 주적 말라리아
역대 전염병 중 가장 수많은 사상자를 낸 치명적인 질병임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Bx.webp)
말라리아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적혈구를 무자비하게 파괴시킨다는 것.
그렇기 때문에 말라리아에 감염된 적혈구를 찾아냄으로써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
이를 조기에 찾아낼수록 사망 확률을 줄일 수 있다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By.webp)
하지만 말라리아로 가장 큰 고통을 받는 아프리카는
이러한 의료지원을 받기가 매우 열악하며 빈곤한 환경이다.
당장 적혈구를 확인해야 하는 현미경조차 구비하기가 힘든 현실임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Bz.webp)
이러한 아프리카의 말라리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
미 스탠포드대의 물리학 교수이자 기술 발명가 ‘마누 프라카시(Manu Prakash)’ 박사는
종이로 만들 수 있는 폴드 현미경을 발명해냄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1.webp)
단 1달러에서 삼천 원 사이의 가격으로
혈액 속의 적혈구를 관찰할 수 있고
그중 감염된 적혈구를 찾아낼 수 있다는 것.
![](https://i.aagag.com/o/AoqVf.webp)
하지만 문제가 남아있었는데
순수한 피에서 감염된 적혈구를 찾아낸다는 건
서울에서 김서방 한 명 찾는 만큼 막연한 행위라는 것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2.webp)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3.webp)
이러한 헛수고를 덜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원심분리기이다.
말라리아에 인해 감염된 적혈구는 밀도가 낮아
원심분리하면 혈장과 혈구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찾기가 매우 쉬워지기 때문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5.webp)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B.webp)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C.webp)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D.webp)
그 아프리카에 절실한 원심분리기는
현미경보다도 더 비싸다.
전기가 없으면 작동도 시킬 수 없기에 설비가 열악한 아프리카를 생각하면 더 암담함 상황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F.webp)
그럼에도 불구하고
말라리아를 해결하기 위해 종이 현미경을 개발했던 과학자 마누는
기존 원심분리기를 대체할
세상에 있는 모든 회전하는 것들을 찾기 시작함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G.webp)
그런 조사 끝에 발견한 것이 바로 이것
실팽이다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H.webp)
실팽이는 5000년도 더 된 고대 유물에서도 발견될 정도로
전통 있는 인류의 장난감이었다.
신기한 것은 오늘날까지 그 누구도
이 실팽이의 원리에 의문을 품지 않았다는 것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J.webp)
발명가이자 물리학자인 마누는 이 실팽이의 원리를 연구하고
10장에 가까이 되는 공식을 유도해냈으며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L.webp)
마침내 200원짜리
원심 분리기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한다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a.webp)
이론상으로는 100만 RPM까지,
일반적인 사람의 팔 힘 만으로 12만 RPM까지 회전시킬 수 있기에
종이와 실 만으로 일반 중력의 3000배에 달하는 원심력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.
![](https://i.aagag.com/o/DSWCc.webp)
그렇게 그는 실과 종이 만으로
아프리카 10억 명의 목숨을 말라리아로부터 지키는데 기여했고 아직도 노력하고 있다.
http://www.bloter.net/archives/270387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